2015년 9월 26일 토요일

김아중 그리고 방글라데시



부자라고 다 행복한 건 아니라는 말을 흔히 하곤 한다.

맞는 말이다.

재산은 많지만 속사정이 괴로운 사람도 많다.


최빈국 가운데 하나인 방글라데시 국민의 행복지수는 세계 1위라는 보고도 있다.

가난하지만 행복하다는 거다.

물질의 풍요만이 행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라는 

대표적인 예로 종종 인용된다.


그런데 우연히 TV를 통해 방글라데시를 보니

행복지수 1위라는 게 정말인지 의심이 생긴다.

그들의 빈곤은 생각보다 심각했다.


열악한 주거 환경과 하루 한 끼의 식사도 장담할 수 없는 조건 속에서

행복을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상식적으로 거의 없다.

그리고 카메라에 비친 그들 역시 상식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그들 중 누구도 행복하다고 하지 않았고 

사람들의 얼굴은 적어도 내가 보기엔 근심으로 가득했다.


통계란 누가 누구를 대상으로 어떻게 조사하느냐에 따라 

충분히 조작되고 뒤틀린 결과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풍족함이 행복이 아니듯 극단적인 결핍도 행복일 수는 없다.

물질의 풍족함이 행복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말은 

마치 없으면 더 행복하다는 듯한 왜곡된 여운을 남기고 

그런 왜곡된 인식을 부추기는데 

방글라데시의 매우 미심쩍은 행복지수가 동원된다는 생각이 든다.


확실한 것은 

정도를 넘어서는 부족함 속에선 행복하기 어렵다는 

구체적이고도 체험적이며 역시 뜬금없는 실례를 내가 하나 알고 있다는 거다.


바로 일 년에 한 번 작품을 할까 말까 한 김아중 팬으로 사는 것.

볼 영화가 없어서 손가락이나 빨고 사는 것.

이거... 결코, 행복하지 않다...

아니 행복해질 수가 없다.


김아중은 팬들의 행복권을 보장하라! 보장하라!

매년 새해 공약은 물 공약이냐! 물 공약이냐!

이럴 줄 알았으면 팬 안 했다! 안 했다!


라고 하면 안 되겠지...

난 무서운 아저씨가 아니야...

아, 근데 낙이 없어...


오래전에 본 영화 '달콤한 인생'에 이런 대사가 있었단다.


『 어느 깊은 가을밤, 잠에서 깨어난 제자가 울고 있었다.

그 모습을 본 스승이 기이하게 여겨 제자에게 물었다.

"무서운 꿈을 꾸었느냐?"

"아닙니다."


"슬픈 꿈을 꾸었느냐?"

"아닙니다. 달콤한 꿈을 꾸었습니다."

"그런데 왜 그리 슬피 우느냐?"


제자는 흐르는 눈물을 닦아내며 나지막이 말했다.

"그 꿈은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입니다."』






김아중 영화 세 편이 동시에 개봉하는 꿈...






그 무대 인사마다 따라다니는 꿈...


사인도 받고 아는 척도 해보고 악수도 해보고...

한 번만이라도...




(사진 출처: 밀튼 스텔리 http://www.miltonstell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