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9월 28일 토요일

김아중, 나의 신화적 기준



그리스 로마 신화에 프로크루스테스라는 강도 얘기가 있다.

지나가는 나그네들을 잡아서 자기 침대에 뉘어보고

침대보다 크면 다리를 잘라내고 작으면 늘려서 사람을 죽였다는

누구나 다 아는 얘기 말이다.
 
 
그냥 그런 흉악한 얘기인가 했는데
 
이로부터 자기 기준에 맞춰 남의 생각을 억지로 고치려는 아집을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에 비유하게 되었단다.
 
 
융통성 없는 아집의 위험성을 생각한다면
 
생각의 틀을 강도의 침대에 비유한 것은 참 적절하다는 생각이고
 
아주 지독한 아집은 아니라도 너나없이 모두
 
이런 침대 비슷한 거 하나쯤은 가슴속에 품고 다닌다는 생각도 든다.
 
 
살아오면서 이런 기준이나 틀 때문에 남에게 크고 작은 상처를 입히고
 
아마 나도 남에게서 적지 않은 상처를 입었을 것인데
 
생각해보면 내게는 이런 마음속의 틀이 하나가 아니다.
 
 
사회에서 타인에게 적용하는 틀과
 
가정에서 사용하는 틀이 미세하게 다르며
 
뉴스 정치판을 바라볼 때, 사회면을 들여다볼 때,
 
연예계를 볼 때 떠올리는 틀이 또 서로 다르다.
 
 
내가 정치인을 바라보는 기준이
 
아내를 바라보는 기준과 같을 수는 없는 거다.
 
아내는 내 용돈에 좀 더 관대해질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런 틀들은 주위 환경과 교육, 그리고 각 개인의
 
유전적 특질에 의해 그 적용 범위나 유연성이 결정될 텐데
 
최근에 내 사고의 틀을 조금이라도 말랑해지도록 영향을 준 사람이 있다면
 
그건 또 어쨌거나 김아중이라는 생각이 확연히 든다.
 
 
김아중의 팬이 되기 전까지 내가 연예계에 대해 아는 것이라고는,
 
알 필요도 없었고 알려고 하지도 않았지만,
 
그저 딴따라라는 말의 통속성이 나타내는 저속함 외에는 아무것도 없었다.
 
 
그러다가 팬 노릇을 하면서
 
옳건 그르건 간에 예전과는 다른 생각을 하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비단 연예계에 대한 생각뿐만 아니라
 
내가 갖고 있던 갖가지 독선과 선입견들에 대해 반성을 하게 된 거다.
 
 
그러니까 연예계를 바라보는 사고의 틀이 바뀌면서 그를 계기로
 
나를 둘러싼 사회를 바라보는 사고의 틀도 전반적으로 너그러워지고 유연해졌는데 
 
 
이에 이바지한 인물이 알고 보니 김아중이었다는,
 
그래서 여러 번 하는 말이지만 김아중이 고맙다는,
 
결국 어쩔 수 없이 김아중은 여러모로 예쁘다는 얘기다.
 
 
그런데 사실 김아중이 내 사고의 침대를 말랑하게 한 것은 틀림없지만
 
김아중은 내게 새로운 사고의 틀을 제공하기도 했다.
 
 
그러니까 내가 어떤 연예인을 보고 예쁜지 아닌지 또는
 
언젠가도 말한 것처럼 얘가 싸가지가 있느냐 없느냐를
 
나름대로 추정하고 판단하려 할 때
 
나는 어김없이 김아중을 기준으로 하게 되는데
 
 
어떤 연예인이든 내 마음속의 침대에 눕혀놓고,
 
응? 이래도 되는 건가?,
 
넘치면 잘라내고 모자라면 늘리는 식의 잔혹한 판단을 해버리는 바람에
 
남아나는 연예인이 없게 되어버렸다.
 
 
이건 다양한 연예인을 마땅히 너그럽게 수용해서 TV라도 즐기며
 
변변치 않은 삶을 꾸려 나가야 할 나 같은 평범한 아저씨에게는 옳지 않다는 점에서
 
당사자는 모르겠지만 하여간 내 눈에 띈 가련한 연예인에게나
 
또 명백히 나 자신에게나 매우 불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프로크루스테스는 침대의 길이를 몰래 조절할 수 있었기 때문에,
 
혹은 길고 짧은 두 개의 침대가 있었기 때문에
 
그 침대에 딱 맞는 사람은 처음부터 있을 수 없었다던가?
 
침대는 그저 구실일 뿐이었던 거다.
 
 
그러면 나는?
 
내 마음속의 프로크루스테스 침대, 김아중.
 

내 기준에 딱 들어맞는 연예인은 역시 세상 어디에도 없다.
 
김아중 외에는.
 
 
 
 (사진 출처: KBS 2009년 4, 5, 6월 수목 드라마 '그저 바라보다가' 13회 캡처)
 
 

2013년 9월 21일 토요일

영화 '첨밀밀'을 보며 김아중을 생각한다.

 
편안한 주말이었다.
 
아내가 뜬금없이 '첨밀밀'을 한 번 보자고 했다.
 
유명하고 오래되었지만
 
내가 좋아하던 여배우가 아니어서 안 봤던 영화다.
 
내가 좋아하던 배우는 왕조현과 임청하였다.
 
그때나 지금이나 난 얼빠인 거다.
 
 
어디에서 들었는지 아내는 눈물을 쏙 뺀단다며 기대를 했고
 
나도 이젠 여배우에 대한 반감도 물러져서 보는 데 동의를 했다.
 
할 일도 없는데 오랜만에 오붓하게 둘이서
 
눈물이나 두어 바가지 쏟아보자는 심산이었다.
 
 
그 유명한 영화를 내가 자세히 소개할 이유는 없을 거다.
 
김아중이 나온 것도 아니고
 
모르긴 해도 나만큼이나 할 일은 없지만
 
나보다는 훨씬 말을 조리 있게 잘하는 사람들의 리뷰가 셀 수없이 많을 거다.
 
 
전체적인 줄거리는 아름답게 포장된 불륜이기도 하고 애끓는 사랑이기도 하다.
 
보고 난 후에도 여러 장면이 눈에 어른거릴 만큼 괜찮은 영화였는데
 
아내나 나나 다 볼 때까지 기대한 것처럼 눈물을 흘리지는 못했다.
 
 
그뿐이라면 나 혼자 가슴에 묻어두고 지나갔겠지만
 
김아중이 아직 배우의 꿈이나 키우고 있었을 옛날에 나온 영화를
 
여기 늘어놓게 된 것은 기본 줄거리의 곁가지로 짧게 등장하는
 
주인공 고모의 사랑 얘기가 인상 깊었기 때문이다.
 
 
주인공의 고모는 젊었을 때 미국 배우 '윌리엄 홀든'의 팬이었고
 
그가 홍콩에서 영화를 찍을 때 구경을 갔다가
 
그의 초대로 호텔에서 같이 식사를 한 번 해본 것을
 
평생의 추억으로 안고 누추하게 살아가는 인물이었다.
 
 
그런 고모가 주인공에게
 
'윌리엄 홀든'과 식사할 때 사용했던 식기류 몇 점과 냅킨이
 
자신이 평생 가장 소중하게 간직했던 것이고

'윌리엄 홀든'은 자신을 잊었겠지만

자신은 그를 기억하므로 괜찮다는 말을 유언으로 남기고 운명한다.
 
 
허망한 삶이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이 영화가 말하고 싶었던 것은 바로 이것이 아니었을까 싶을 정도로

난 여기가 맘에 들었다.


겉으로는 고모의 이루어지지 않은 사랑에 대한 애련한 독백이지만

만남과 헤어짐을 거듭하는 주인공들의 사랑에 대한 영화의 시각이기도 하고

나아가 세상 모든 연인이나 인간관계에 대한 간결한 경구처럼도 느껴진다.


사람이란 만나기도 하고 헤어지기도 하지만

잊지 말아야 할 것은 같이 보낸 시간들에 대한 기억과 추억이며

이런 것들은 만남이나 사랑의 결말과는 별개로

삶을 지탱해주는 위안과 행복이 된다는 뜻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서로 잊힐까 봐 두려워하고 그래서 끊임없이 확인하지만

중요한 것은 상대에게 기억되느냐가 아니라

내가 상대를 기억하느냐라는 말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자신이 아무에게도 기억되지 못한 채

그냥 이대로 사라져버릴 수도 있다는 허무함과 불안감에

시달리는 세상 사람들을 위한 위로의 말 같기도 하다.
 

하여간 영화를 볼 때는 몰랐는데 다시 생각이 나서

이 부분을 찾아보니 주책없이 눈물이 고였다.


좋아한다는 것은 상대에게 나를 기억하도록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상대를 기억하는 것이고 그걸로 충분하다는,

팬이란 특히나 그럴 수밖에 없는 존재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아마 김아중 팬으로 지내는 내 처지와

주인공 고모의 처지가 오버랩되어 더 애틋하게 여겨지는지도 모를 일이다.
 

고모는 마치 내게

내가 김아중을 기억하면 그뿐이고

그러면 충분한 거라고 말을 건네는 듯싶다.
 

아는데,

머리로는 다 알겠는데

마음 한구석에 차오르는 쓸쓸함은 어쩔 수가 없다.


고모는 '윌리엄'을 만난 적이라도 있지...
 

고모의 유언 부분을 영화에서 잘라내어 올리려고 했는데
 
구글에 올리는 방법을 도저히 알 수 없어서
 
여기와 똑같은 내 다른 블로그 링크를 적어둔다.
 
 
 
영화 전체를 통해 흐르는 애잔함을 온전히 느낄 수는 없지만
 
쇠락한 집 안 풍경과 차분한 배경 음악, 그리고 그에 못지않게 차분히
 
삶을 관조하는 듯한 여배우의 목소리가 인상적이다.
 
 
                                                                                                                              (나에겐 이게 있다...)
 
 
자신의 늙은 모습을 보이지 않게 되어
 
그가 자신을 찾지 않은 것은 오히려 잘 된 일이라는 말...
 
가슴이 너무 아프다.

 
 
(사진 출처: KBS 2009년 4, 5, 6월 수목 드라마 '그저 바라보다가' 13회 캡처)
 
(동영상 출처는 영화 '첨밀밀' (1996년))
 
 








2013년 9월 15일 일요일

오늘 2차 일본 팬 미팅 공연 축하합니다.



작년에 이은 두 번째 팬 미팅.

좋다고 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ㅎㅎ


아무튼 오늘 동경국제포럼 홀 C에서 저녁 6시부터의 공연을 축하합니다.

영화 촬영 틈틈이 준비하시느라 애를 쓴 만큼 성황리에 무사히 마치시고

건강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귀국하시기를 두루두루 기원합니다.


www.kimajoong.jp 라는 사이트까지 있다.

이제까지 별생각이 없었는데 다시 생각해보니 이게 헐.. 부럽..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거라 생략하려다 기록을 남기기 위해서 캡처한 사진들.

















2013년 9월 14일 토요일

김아중은 풋사과 같다.

 
 
며칠 전 사과 향 자일리톨 껌을 입에 넣었을 때였다.
 
사과 향이 입안에 은근히 퍼지는데
 
 
느닷없이 아, 이 향이 바로 김아중이야.라는 생각이 머리를 때리는 거였다.
 
이어서 김아중은 풋사과다.는 생각도 들고.
 
 
이유는 없었다.
 
 
지금까지 수백 개는 씹었을 껌이고
 
지금까지 수백 개는 먹었을 사과인데
 
갑자기 사과 향이 김아중으로 변하고
 
다시 김아중은 풋사과로 변하는 거였다.
 
 
... 나도 가끔은 껌이 김아중으로 변하는 개 껌 같은 얘기 말고
 
껌으로 한가하게 풍선이나 불어본 얘기를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시원한 연둣빛. 사각사각하는 상쾌함.
 
단맛과 자극적인 신맛의 조화로운 공존.
 
부드러우면서도 도도한 김아중이 변신한 것 같은 과일.
 
 
바나나나 허니듀?
 
아니지. 물러터지고.
 
 
참외 수박 배?
 
... 달아터졌다...
 
 
풋사과 이상으로 김아중 같은 과일은 없다.
 
깨물면 김아중이 튀어나올 것 같은.
 
아무렴.
 
 
나로서는 기막힌 연상이다.
 
내 머리에서 나올 수 있는 한계치다.
 
 
연두색만 해도 그렇다.
 
따뜻한 노랑과 차가운 파랑의 혼합색.
 
 
이젠 길을 가다 연두색 담장만 봐도 김아중이 떠오르는 거다.
 
 
평범하던 것이라도 새로운 의미가 되는 날이 있고
 
그런 일은 언제나 예고도 없이 일어난다.
 
 
매일 지나치던 길가의 풀잎이 어느 날 이유도 없이
 
눈부시게 눈에 들어오고
 
 
벌써 20여 년이 지났지만
 
이유도 없이 눈이 부시게 아름다웠던 것처럼
 
이유도 없이 잊히지 않는다.
 
 
젊은 날 타지에서 처음 사용했던 비누의 향은
 
언제나 미지에 대한 설렘과 막막함이 엉켜있던 그때를 떠올리게 하고
 
그 한때에 대한 기억은 다시 비누의 향으로 연결된다.
 
 
풀 이파리 몇 개가 비누 하나가 기억 속에 오래도록 남을 줄은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일들이다.
 
 
어느 날 갑자기 몇 미터 앞 모래 몇 알 때문에
 
예상치 못하게 길 위에서 나둥그러진 것처럼
 
 
어느 날 갑자기 영화 하나 보다가
 
눈부신 김아중에 나둥그러지는 거다.
 
 
그렇게 많은 영화를 봤는데
 
헤아릴 수없이 많은 여배우를 봤는데
 
난 김아중에게서 걸린 거다.
 
 
아무도 예상할 수 없다.
 
 
길을 가다 연두색 풀잎만 봐도 김아중이 떠오른다.
 
 
그런데 사과 껌 이후로 나는 이런 생각도 가끔 한다.
 
김아중은 바다 냄새가 나는 것도 같다고.
 
 
싱싱한 생미역처럼 시원하고 그윽한 먼 바닷내음.
 
때로는 잔잔하고 때로는 몰아치기도 하는.
 
넓고 푸르고 아련하게 깊이를 알 수 없는 바다.
 
 
그래서 이제 또 바다만 떠올리면...
 
 
 
 
(사진 출처: KBS 2009년 4, 5, 6월 수목 드라마 '그저 바라보다가' 12회,
 
   비디비치 페이스북, 비디비치 2013 F/W 영상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