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2월 28일 토요일

김아중은 동글동글하다.


 
일요일 저녁에 한가하게 예능 프로를 보던 아내가 불현듯
 
"주ㅇ이 영화 나오데?" 라고 했다.
 
 
"아, 그래?"
 
잠깐이었지만
 
'아 그거 김아중도 나와.'
 
를 말해야 하는 찬스인지 아닌지를 고민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내가 먼저 김아중을 말하는 것은 언제나 옳지 않다.
 
'호빗'을 보러 가면 영화관에 널려있을 '캐치미' 포스터를 보며
 
자연스럽게 바람을 잡을 수 있는데 여기서 일을 망칠 순 없는 거였다.
 
 
"김아중도 나오더라...?"
 
내가 머뭇거리는 사이 아내가 한 말이었다.
 
 
내가 김아중에 혹하는 걸 알면서도 주ㅇ 얘기부터 꺼낸
 
아내의 저의는 통 알 수 없지만 어쨌든
 
나의 머뭇거림은 의도치 않게 신의 꼼수 중의 꼼수가 된 거 같았다.
 
 
나는 정말 이 이상 쿨한 남편은
 
이 세상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을 거라고 아내가 여기지 않을까 싶게
 
"아..., 그럼 보러 가야겠네?"
 
라고 미소를 띠며 차분히 말해줬다.
 
짧은 순간이었지만 혼자만의 숨 가뿐 신경전을
 
무사히 치른 후의 여유로움이 묻어있었을 거다.
 
 
그래서 월요일(12월 16일)엔 아내가 벼르던 호빗을 봤고
 
어찌어찌 하다가 수요일 저녁이 되었을 때
 
"내일 아침 10시 10분이야. 김아중 거 봐야지."
 
라는 아내의 말이 있었다.
 
찾아가는 서비스처럼 날짜와 시간까지 알아서 착착 진행이었다.
 
 
눈발이 약간 흩날리던 목요일(19일) 아침
 
예정대로 영화관에 도착해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올라가다가
 
갑자기 아내가
 
"영화 제목이 뭐였지? ... 아 캐치미.ㅎㅎ 우리 뭔 주책이냐."
 
하며 키득거렸는데
 
묘하게도 아내는 이 모든 상황을 즐기고 있는 듯 보였고
 
 
영화를 보고 나와서는 어쩐지 흐뭇한 분위기를 틈타
 
"기념이지.ㅎㅎ"
 
라고 얼버무리며 내가 전단지 두 장을 뽑아 챙겼는데도
 
아내는 조용히 웃기만 할 뿐이었다.
 
꿈이라도 이렇게 순조로울 순 없을 거 같았다.
 
 
영화는 아내 말로는 괜찮았단다.
 
나야 뭐 더 말할 게 없었고.
 
 
돌아오는 차 안에서 아내는 김아중의 어디가 좋으냐고 물었다.
 
"이쁘니까.ㅎㅎ"
 
다른 수많은 어설픈 이유들이 입안에서 맴돌기는 했지만,
 
정직은 언제나 최선의 방어다.
 
 
아내는 어떤 배우가 더 예쁘네, 난 아니네 하며 말을 주고받았는데
 
아내는 내가 동글동글한 형을 좋아한다는 결론을 내려줬다.
 
 
"김아중이 동그래? 동그랗지는 않은데...?"
 
아내의 말에 전적으로 동의할 수는 없어도
 
김아중 얘기가 너무 길어지는 것이 영 불안해서 그냥 말았는데
 
 
아내가 말하는 '동글동글'이란 외형적인 면도 있겠지만
 
어쩐지 행동이나 말에서 풍기는 분위기라는 생각이 들었다.
 
 
영화 속 김아중이 애교 있게 통통거리는 모습들이
 
아내에겐 동그랗다는 느낌으로 형상화된 게 아닐까 싶은 거다.
 
 
하여간 '캐치미'는 더 할 수 없이 평화롭게 봤다.
 
흥행은 비록 아쉽게 되었지만
 
내게는 2013년 12월 어느 하루를 특별하게 만들어준 영화가 하나 생긴 거다.
 
 
작년에 '나의 PS 파트너'도 아무 탈 없이 봤고,
 
'싸인'도 그렇고,
 
드라마 '그저 바라보다가' 이후부터는 모든 게 조금씩 더 순조로운데
 
 
내가 티를 많이 안 내서 그런가? 하는 생각보다는
 
아내도 이젠 나이가 들어서 그런가보다는 생각이 자꾸 든다.
 
평화로우면서도 쓸쓸한 느낌이다.
 
 
 
 
 
(사진 출처: 인터넷 여기저기)
 
 
 

2013년 12월 21일 토요일

김아중의 '캐치미'를 보고 나서



나는 TV는 잘 안 보지만 개그 프로그램들은 되도록 챙겨 보고
 
외국 코미디 영화도 종종 내려받아 보는 편이다.


그래서인지 나는 캐치미에 대해 안 좋은 얘기를 별로 할 게 없다.
 
내가 김아중 팬이기도 하지만,
 
흔한 조폭 얘기가 아니라서 소재도 새로웠고
 
군데군데 마음껏 웃을 수 있었던 부분이 적지 않았다.
 

그렇지만,
 
자연의 물리 법칙과 이성적 논리에 관심을 두거나
 
영화에서 무언가를 배우려고 한다면 이 영화를 볼 이유가 없다.
 
영화를 보면서 눈물 몇 방울이라도 흘려야 돈이 안 아까운 사람도 이 영화를 볼 이유가 없다.
 

우리나라 영화에 흔히 등장하는 가족애, 동료애 따위의 계몽적 교훈이나
 
감독의 정치적 견해가 궁금한 사람도 이 영화를 보면 안 될 거다.
 

이 영화는 이를테면 '미스터 빈' 시리즈 같은 영화다.
 
보는 이에 따라서는 이해할 수 없는 상황과 말들을 받아들이며
 
마음을 열고 편히 있으면 시종일관 웃음이 번져 나오는 영화다.
 

요즘엔 코미디라고 해도 어쭙잖은 감동 코드로
 
관객의 눈물을 유도해보려는 영화들이 대부분인데
 
캐치미에는 그런 억지 눈물 자극 장치가 없다는 점에서 신선하다.
 

물론 영화 한 편을 보면서 웃기도 하고 울기도 하는 게 나쁜 것은 아니다.
 
종합선물세트는 그 나름의 미덕이 있다.
 
하지만 내가 원치 않는 소고기 맛 다시다까지 들어있는 종합세트보다는
 
내가 원하는 참기름만 가지런히 들어있는 것이 훨씬 좋기도 한 거다.
 

캐치미는 요즘 외국 영화에서도 보기 드문 순수한 웃음보따리다.
 
순수한 참기름 세트인 거다.
 
작위적인 눈물 코드가 일단 없다.
 
감독이 강요하는 교훈도 없다.
 
감독의 정치 성향은 더더욱 알 수 없다.
 

대신 첫사랑과의 헤어짐과 만남이라는 애틋한 감성에
 
가끔은 황당하고 느물느물한 웃음을 적절히 섞어놓은
 
밀크 초콜릿 같은 달콤함을 제공하는 데 충실한 영화다.
 
초콜릿을 먹고 있는데 느닷없이 매운 떡볶이를 들이미는 따위의
 
몰염치한 짓을 이 영화는 하지 않는다.
 

추운 연말이다.
 
지난 한 해의 무거움을 웃음으로 잠시 잊고 싶은 사람,
 
무겁진 않았지만, 그냥 한번 웃어보고 싶은 사람,
 
앞으로 다가올 무거움이 마냥 걱정인 사람,
 
그냥 무거운 건 무작정 싫은 사람,
 
전문가를 자처하는 한량들이 뭐라고 하든 소신껏 웃어보고 싶은 사람,
 
그런 사람들은 마음을 열고 이 영화를 한 번 볼 일이다.
 

천진난만하고 시원하게 웃고 나면 덤으로
 
순수했던 첫사랑의 추억이,
 
그런 게 없었더라도 마치 있었던 것처럼,
 
한동안 주변을 떠돌지도 모른다.
 
내가 그랬으니까...
 


 
(사진 출처: 영화 '캐치미' 공식 사이트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92526 
 
   ... 여기가 아닐 수도 있다...)

 

2013년 12월 13일 금요일

김아중의 '캐치미' 관련 인터뷰들의 요점 정리


'캐치미' 개봉이 다가오니 김아중의 인터뷰가 여기저기서 쏟아져나온다.

할 일도 없던 마당에 심심하지 않고 좋다.
 
 
내가 인터뷰들을 가슴에 새기는 타입도 아니고
 
어릴 때부터 요점 정리와는 은근히 담을 쌓으며 지내왔기 때문에
 
이건 요점 정리도 아니고 뭣도 아니지만
 
 
가만히 있느니 머리라도 조금씩 굴려보자는 생각에
 
여러 인터뷰를 읽고 남은 단편적인 기억들을 대충 적어봤다.
 
 
* '캐치미'는 창대한 꿈을 안고 출연한 대작은 아니다.
 
* '캐치미'는 논리정연한 실화가 아니라 만화처럼 가볍게 봐야 하는 일종의 판타지다.
 
 
* 김아중은 좋은 시나리오를 선별하는 능력이 있다.
 
* 작품 선택 기준은 자신이(김아중) 재미있는 것이다.
 
 
* 로코는 여전히 재밌고 마다할 이유는 없지만, 
 
   앞으로는 정통 멜로물이나 비애가 꿈틀거리는 액션물을 해보고 싶다.
 
* 니키타는 끄덕끄덕, 툼 레이더는 도리도리. (매우 아쉽다...)
 
* 앞으로는 물불 안 가리고 다작하겠다. 다시 한 번 속아달라.
 
 
* 첫 사랑 상대? 말하면 알겠느냐?
 
* 연애를 해보고 싶다. 싶다. 싶다.
 
 
기억나는 거는 이 정도가 전부인데
 
이걸로 미루어보면 '캐치미'에 대해 개연성이나 인과 관계 운운하는 것은
 
개그 프로를 보면서 논리를 따지는 모양새와 비슷한 개수작이 될 거 같다.
 
 
대개는 지난 인터뷰 때도 듣던 얘기들이라서 새삼스럽지는 않은데
 
'캐치미'의 '이현종' 감독은 김아중에 대해 매우 인상적인 말을 해줬다.
 
 
* 김아중은 촬영할 때마다 다른 연기를 보여줬다.
 
* 본인의 캐릭터를 스스로 만들어 나간다.
 
* 그 덕에 갇혀있던 장면이나 캐릭터의 새로운 면을 발견하게 되는 경우도 있었다.
 
 
* 실제 연인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는 능력이 있다.
 
* 시선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눈빛을 강조한다.
 
 
바로 이거다.
 
다른 사람의 지시가 아닌 자기 스스로 느끼고 창조한 인물,
 
상대 배우와의 남다른 교감 능력, 거기에 미묘한 시선 처리.
 
 
이런 것들이 어우러져 김아중이 연기하는 인물에는
 
설득력 있는 사실감이 항상 존재했고 그래서
 
관객들은 김아중의 감정선을 그대로 따라가며 웃고 울 수 있었던 거다.
 
 
같이 작업하며 가까이에서 관찰한 감독의 말이니 토를 달 게 없다.
 
이제까지 김아중 연기만 보면 속절없이 빠져들던 이유를
 
정확하게 지적해준 것 같아서 속이 다 시원하다.
 
 
아마 김아중이 어떤 배우인지를 파악하는데,
 
사실 이런 거 파악하는 게 우리 인생에 도움될 일은 없지만,
 
이보다 더 명료했던 말은 내 기억엔 없다.
 
 
전에도 말한 적이 있지만 이런 건 타고 나는 거다.
 
누구나 말로 배울 수는 있겠지만, 연습과 노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천부적인 재능이다.
 
 
며칠 전 '공형진의 씨네타운'에서 '공형진'은
 
김아중에게는 아시아 최고의 몽환적인 분위기가 있다며
 
'슬쩍 이렇게... 시선도 그냥 이렇게 보는 게 아니라 이렇게... 슬쩍'
 
하면서 그 분위기를 말로 제대로 표현하질 못하더라.
 
누군들 할 수 있겠는가...?
 
 
... 공형진을 싫어한 적은 없지만, 앞으론 좋아하기로 했다.
 
... 뭐 팬까지는 아니고 괜찮은 사람 같다고 아내에게 말해주는 정도...
 
 
몽환적인 느낌, 유혹하는 듯 마는 듯한 시선.

관객들이 공통으로 느끼는 김아중의 독특한 매력이자 장점이다.
 
 
청순 아니면 유혹, 선 아니면 악, 그런 양자택일이 아니라
 
이 모두를 한데 뒤섞어 삶아낸 오묘한 분위기와 향기, 시선,
 
그리고 그 눈...
 
 
타고 난 '요~물!'이다.^^
 
  
 
 
 
(사진 출처: 인터넷 여기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