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6월 28일 일요일

김아중 그리고 목련


어렸을 때 시골 외가 뒷산에서 옻이 올라 한참을 고생했던 적이 있다.

옻나무가 뭔지 모르고 산을 돌아다니다 그렇게 되었던 거라서

그 이후로는 혹시 또? 하는 마음에

산에 가면 나무들을 주의 깊게 살펴보기도 한다.

옻 때문에 고생했던 일로 작은 정신적 외상을 입은 건가 싶기도 하다.


그 일 이후 옻나무만큼은 확실히 알아볼 수 있다고 믿고 있지만

사실 그렇게 자신이 있는 건 아니다.


대나무나 소나무처럼 아주 특색이 있거나 흔한 것이 아니면

어쩐 일인지 나무의 특징들은 기억에 남지를 않는다.

여러 방면에서 별 소질을 보인 적이 없었듯이

나무를 알아보는 소질도 역시 대단치 않다.


예를 들어 목련이나 개나리 같은 꽃나무도

꽃이 진 후 다른 나무들과 섞여 있으면 알아보질 못한다.


내 능력이 그저 그만큼이라 생각하지만

옻처럼 위험한 나무를 아직도 확실히 알지 못하는 것뿐 아니라

일반적인 다른 나무들도 잘 모른다는 게 난 좀 아쉽다.


내가 만일 꽃이 진 목련 나무를 알아볼 수 있다면

요즘처럼 초록 잎만 무성한 때라도

그 나무 근처에서는 하얀 목련을 상상할 수 있을 거다.

그건 나름 근사한 일이다.


화사하지만 한편 고즈넉한 내년 봄을 기대할 수도 있고 

목련이 피어있던 옛집마당이 생각날 수도 있고

목련이 떨어진 교정을 걸어가던 참했던 그 여학생이 생각날지도 모른다.


목련 나무 하나를 구별하여 알게 되면

그 주변 전체가 새로운 풍경으로 변할 것만 같다.


그러면 심심하기 짝이 없는 동네 산책길일지라도 

어딘가 비밀을 간직한 나만의 길이 될지도 모른다.


목련이 있는 길.

내 이야기가 들리는 길을 운치 있게 강아지와 매일 걷는 거다...


무언가를 알아볼 수 있고 그 이름을 구별하여 기억한다는 건

우리의 생존이나 일상에 어떤 형태로든 영향을 줄 것이 틀림없다.


말이 난 김에 얘기하자면

사실 내가 김아중을 알아본 다음부터 이 꼴이 난 게 아닌가.


시시껄렁한 잡지 이름들을 아내보다 더 많이 알게 되고

세이브 더 칠드런이나 여성 영화제 등

김아중과 관련된 수많은 것들을 알게 모르게 눈여겨보게 되었으니

삶이 확 바뀐 거다.


그 숱한 배우 가운데

김아중이라는 이름 하나를 앎으로 해서 

많은 것들이 기억에 새겨지고 추억이 되어 간다.


... 뭐 ... 내겐 감사한 일이다.

이 대책 없는 블로그를 하게 된 것은 좀 그렇지만.


아무튼, 이 두서없는 글을 어떻게든 마무리를 지어야겠는데

생각나는 건 없고...


그냥 목련이나 라일락 나무를 알아볼 수 있다면 좋겠다는 것,

나무 이름을 척 알아맞히는 사람을 보면 왠지 부럽다는 것,

김아중은 목련인가 하는 뜬금없는 상상도 했다는 것...







(사진 출처: 영화 '캐치 미'(2013.12.18 개봉)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