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3월 28일 목요일

김아중의 인스타일, 코스모폴리탄 4월호(2013년)를 동시에 샀다.


며칠 동안 일없이 허리가 아프고 감기도 걸려서

그렇지 않아도 사이가 좋던 방바닥과 더 각별하게 지냈다.



이불 덮고 푹 쉬라며 아내가 인심 쓰듯 나를 두고 혼자 등산을 갔을 때

사실 몸이 괜찮아져서 같이 가자고 하면 어쩌나 하기는 했지만,




이상의 소설 '날개'의 주인공처럼

아내 방으로 건너가 아내의 화장품 냄새를 맡는 따위의

다소 변태스럽게 보일 수도 있는 일은 물론 하지 않았는데 대신,




감기약 기운에 느른하고 쑤시는 몸을 일으켜 컴퓨터로 다가가

숨겨놓은 김아중 사진과 동영상을 하나하나 꺼내보았다.



사진마다 독특한 김아중의 향기가 전해져 왔다.



그러다가

언제 다시 이런 기회가 올지 모른다는 생각에

약간 어지럽기는 했지만 분연히라고 해도 좋을 만큼 분연히 떨치고 일어나

주섬주섬 옷을 챙겨입고 동네 책방에 가서 인스타일과 코스모폴리탄 4월호를 집어들었다.




책방 주인아줌마가 내 멤버십 번호를 외우고 있다는 사실은

적잖이 놀랍고 당황스러웠는데

아줌마는 이번에는 두 권 다 부록이 없다며

또 잡지는 적립이 되지 않는다며 안타까워하기까지 했다.




솔직히 부록은 언제나 처치 곤란이었고

적립 포인트 같은 건 흔적으로 남겨놓으면 안 되는 거라서

누가 보기 전에 얼른 싸주기만 하면 오히려 잘된 일이었지만

나도 아쉽다는 표정을 지으며 책을 받았다.




내 아이디가 아줌마의 기억에 남아있다는

찜찜한 사실 하나만 제외해 놓고 보면

어쨌든 한 큐에 두 권, 일거양득, 일타쌍피.

흔치 않은 순조로운 날이었다.




집에 와서 감기로 흘러내리는 콧물을 훌쩍이며 책장을 넘길 때

인쇄된 사진들은 컴퓨터 속 디지털 이미지와는 또 다른

친밀하고 감미로운 김아중의 향기를 내게 쏟아냈다.




아로마세라피라도 받는 것처럼

그때만큼은 어지럽지도 않고 쑤시는 곳도 없었다.


사진이 나를 잠시 잊게 하는 순간이다.




날개의 주인공도 그런 느낌이었을 거다.

무언가를 매개로 잠시나마 실체에 접근하는 듯한 아련한 느낌.




사진과 나 자신의 환상이 어우러져 만들어내는 망각의 시간.

그리고 그 망각이 제공하는 짧은 휴식과 가슴 아린 위안.




날개의 주인공이 그렇게 기이한 생활을 계속할 수 있었던 이유,

내가 이렇게 잡지 사는 일을 어이없이 반복하는 이유일 수도 있겠다.



내게도 날개가 있다면 좋겠다...




(사진 출처: 인스타일 사진들은 인터넷 여러 기사에서 얻었고, 
코스모폴리탄 사진들은 잡지사 홈페이지 http://cosmopolitan.joinsmsn.com 에서 얻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