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0월 28일 월요일
김아중 그리고 내비게이션
얼마 전 부모님 산소로 잘 가고 있는데
내비게이션이 평소와 다른 길을 지시하더군요.
교통 정보를 반영한 새로운 경로라나 뭐라나...
하지만 20년 넘게 다닌 경험으로는
평소 다니던 길보다 나은 길이 없거든요.
막힐 시간도 아니었고.
그래서 안내를 무시하고 그냥 갔지요.
아무 문제 없었어요.
근데 어쩐 일인지 올 때도 자꾸 다른 길을 안내하더군요.
아무래도 모르는 새에 더 빠르고 좋은 길이 생긴 건가 싶어서
결국 안내를 따라 다른 길로 들어섰더니
과속 방지턱이 연달아 있는 좁은 길이었어요.
가끔 내비게이션의 논리 회로가 그다지 논리적이지 못할 때가 있는 거죠.
내비게이션 탓을 하며 잠시 짜증이 났었지만,
가만히 생각해보면 아는 길이 정말 최선의 길인지에 대한 의심이
늘 마음 한쪽에 자리하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내비게이션의 새로운 경로 안내를 따라간 것은
더 좋은 길이 있을지 모른다는 막연한 가능성에 대한
저 자신의 유혹에 스스로 넘어간 것뿐이라고 볼 수 있었어요.
근데 현상 유지 편향이란 게 있다지요.
사람들은 웬만하면 현재의 상태를 바꾸려고 하지 않는다네요.
대체로 아는 상표를 계속 사고, 익숙한 음식을 먹으며
카페에 가도 늘 앉던 자리에 가서 앉는다는 겁니다.
사람은 변화를 귀찮아하는 성향이 있다는 거예요.
물체에는 관성이, 사람 심리엔 현상 유지 편향이 있는 거죠.
제가 김아중만 보는 건 현상 유지 편향 때문일까 하는 의문이 생겼었어요.
익숙하지 않은 다른 배우를 찾아본다는 건 귀찮은 일일 수도 있는 거니까요.
어떻게든 번거로운 일만은 피하자는 심리가
저도 모르는 깊은 곳에 자리하고 있는 건 아닐까 했던 겁니다.
... 내 속은 나도 몰라...
하지만 저는 내비게이션에 따라 곧잘 길을 바꾸기도 하거든요.
이번만 그랬던 게 아니에요.
20년 넘게 다닌 길도 바꿨던 걸 보면 저는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현상 유지 편향이 과히 강한 사람이 아닌지도 모르죠.
게을러서 만사 귀찮아하기는 하지만 말입니다.
그러니까 저는 그 현상 유지 편향이라는 것 때문에
김아중만 보는 건 아닌 겁니다.
뭐 당연한 결론이겠지만요.
하여간 저라는 인간은 내키면 언제든 바꿀 수 있는 놈인 거죠.
마음속에 내비게이션이 있어서 100m 앞 교차로에서
우측 여배우를 보라 그러면 언제든 볼 놈인 거예요.
에이 무슨~ 이러면서 앞만 보다가
더 멋진 영화적 풍경을 놓치진 않을 것 같은 놈인 거죠.
영화를 보거나 배우를 좋아하는 이유는
결국 즐겁고 행복해지기 위해서겠죠.
그리고 행복해지는 목적지에 무사히 도달하기만 한다면
설령 약간 돌거나 불편하더라도 이런저런 다양한 길을
가보는 게 결코 나쁜 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제 마음속 내비게이션의 소리에
더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어요.
제가 마음의 안내를 못 듣고 속절없이
가던 길만 가는 거라면 좀 억울하잖아요.
잘 듣고 있다가 혹시 좌회전하라 하면 좌회전해보고
우회전하라 그러면 우회전도 해보는 겁니다.
그렇게 따라가기만 하면 저도 몰랐던 꿈 같은 배우가
미소지으며 서 있을지도 모르니까요.
그런데 말이죠.
머릿속 내비게이션을 잘 들어봤는데 말이죠.
얘가 별 말이 없네요.
안내랄 게 없어요.
영화 정보를 반영하여 새로운 배우가 탐색 되었다든지
우측 출구로 인제 그만 나가보라든지 하는 소리가 없어요.
아무것도 없이 아중리 방면 직진이라는 안내만 하네요.
업데이트도 제때제때 하고 있는데 ... ...
10년 넘게 출구 하나 없을 리가 ... ...
고장 났나? ... ...
(사진 출처: A+G 엣지 : CJmall: http://display.cjmal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