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6월 23일 일요일
김아중 그리고 줄 위의 인생
일이 계획대로 잘 안 될 때를 대비해서 차선책을 준비해놓는 경우가 있죠.
저는 거창한 플랜을 세워본 적도 거의 없고
차선책이라는 건 더더욱 준비해본 적이 거의 없지만
일상적인 소소한 플랜들 변경은 수시로 합니다.
예를 들어 산에 올라가다가 힘들면 중간에 관둔다든지,
거실 청소를 하겠다고 청소기를 보란 듯 돌리다가 주방은 빼기도 하고,
눈치가 보이면 안방은 한 번 돌려주기도 하고 뭐 그런 거죠.
... 계획이란 게 없어...
처음과 다른 플랜들이 있으면,
그리고 변경된 플랜 B, C 등을 너그럽게 받아들일 수 있으면
스트레스도 덜 받고 몸과 마음이 한결 편안해지죠.
어렸을 때의 영화 감상이 꽤 만족스러웠던 것도
차선책들에 관한 유연한 마음가짐 덕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오드리 헵번이 아니면 마릴린 먼로를 보면 됐고,
마릴린이 아니면 까뜨린느 드뇌브를 봐도 좋았기 때문에
TV든 극장이든 영화들이 전혀 실망스럽지 않았어요.
... 대단한 차선책에 대단한 유연함...
지금은 영화에 관한 한 매우 경직된 삶을 살고 있죠.
'반드시'라고 할 수밖에 없는 지켜야 할 플랜 A가 있습니다.
'니들은 아무 영화나 보냐? 난 김아중 영화만 본다.
그게 얼마나 짠내 나는 건지 보여줄게.'
뭐 그런, 나름 비장한 누아르풍의 플랜 A입니다.
이쪽으로는 아무리 머리를 굴려봐도 다른 플랜이 없어요.
다른 건 아내한테 다 밀려도 이것만은 변경 불가죠.
이런 게 삶을 상당히 팍팍하게 합니다.
어쩌면 여기엔 아내의 오해를 막아야 한다는
무의식적인 절박함이 작용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아, 이 남자, 아무 배우나 다 보는구나.'라고 아내가 오해라도 하게 되면
막 아무 영화나 같이 보자고 개 끌듯 끌고 다닐 거거든요.
저한테는 플랜 C나 D도 안 될 영화들 말이에요.
그러면 그동안 김아중을 향해 지켜온
저의 영화적 순수성이 돌이킬 수 없이 훼손되는 거죠.
제게는 그나마 유일하게 남은 순수성인데...
말이 나왔으니 말인데 순수하다는 건 외줄 위를 걷는 것처럼 위태로워요.
여차하면 나락으로 떨어져 오염되죠.
코트를 펄럭이며 죽기 살기로 총을 쏴대는 홍콩 영화의
비장함 같은 것도 가끔 느껴져요.
어쩌다 줄이 한번 흔들리면 등줄기로 식은땀이 촤악...
아니 이게 뭐 그렇게까지 하며 살 일인지,
이런 일에 순수성이라는 게 맞는 말인지 의아할지 모르지만,
순수가 별건가요.
팬으로서의 신념을 지키면 순수한 거지.
...뭘 또 신념씩이나...
그리고 결국 덕질이란 이런 거죠.
자신을 가두는 틀과 세상의 모든 편견을 깨며 혼자 가는 거...
세상 비장... ...
7월엔 김아중이 진행하는 TV 프로도 방영된다고 하고,
올해엔 드디어 김아중 영화가 개봉된다고 하긴 했는데 말이죠.
저의 대쪽 같은 순수성을 또다시 시험하게 되겠지요.
물론 저는 예전처럼 능히 할 수 있다고 봅니다...
그런데 이젠 영화가 개봉되면 아내가 그냥 가서 보라고 할 것만 같아요.
나이 드니까 상호 이해의 폭도 넓어지고 무엇보다 서로 측은하거든요.
모처럼 좋아하는 배우 나왔다면서 눈치를 보면 불쌍할 거 아니에요.
살면 이제 얼마나 산다고...
나 같으면 불쌍할 것 같아...
하여간,
그 나이에 그러고 싶어? 부류의 안타까움이 묻어나는
질문 아닌 질문이라도 받게 되면
응! 한 마디 던진 다음에 어이없어할 때 냅다 뛰어야죠.
극장으로...
... 그날만 사는 거니까.
줄 위의 인생.
(사진 출처: 다음 카페 ㅌㅡ라이앵글: http://cafe.daum.net/KAJfamily/eOar/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