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4월 27일 수요일
김아중 그리고 걱정
가끔 멀리 있는 애들 걱정을 합니다.
별로 쓸 데 있는 걱정은 아닙니다.
그냥 밥 잘 먹고 여러모로 잘 지내고 있는가 하는,
말로 한다면 잔소리에 불과할 걱정들입니다.
하지만 제가 걱정한다고 해서 달라질 건 없다는 걸 압니다.
그래서 머리를 한번 휙 스쳐지나 사라지죠.
그런 식으로 가끔 김아중 걱정도 해요.
잘 지내고 있나 하는 막연한 생각이 문득문득 드는 거죠.
아이들 걱정하듯이요.
나름 꽤 오랜 기간 팬을 하다 보니까
마음만은 김아중과 한 식구 같은 거에요.
그러니까 전혀 해는 없지만 도움도 되지 않는
시시하고 싱거운 걱정들을 하는 거죠.
- 밥은 잘 먹고 지내려나... 야채도 많이 먹어야 하는데... 오겡끼데...
- 그만! 난 당신 같은 아저씨를 식구로 둔 적이 없어!
연예인 걱정처럼 쓸데없는 걱정이 없다고 하죠.
그런데 생각해보면 연예인뿐 아니라 남을 걱정한다는 게
사실 대체로 쓸데없는 일입니다.
자식이 시험 치는 동안 밖에서 부모가 걱정하는 것도 그래요.
실질적으론 자식한테 전혀 도움이 되지 않거든요.
하지만 남 걱정을 하는 동안엔 잠시 자신의 문제를 잊기도 하고
자신의 걱정거리에 대해서도 위로를 얻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죠.
그래서 연예인 걱정은 매우 유용한 걱정이라고 생각합니다.
가족 걱정, 친척 걱정에 정치 걱정, 지구 걱정까지
두루 쓸데없는 걱정을 다 하고도 뭔가 아쉬우면
연예인이나 유명인 걱정을 해보는 겁니다.
쏠쏠한 위로가 돼요.
그 잘난 사람도, 그 돈 많은 사람도
내가 걱정해줄 수 있는 뭔가가 있다는 사실에
후유~ 하고 알 수 없는 안도감을 느끼게 되는 거죠.
물론 아무리 시간이 남는다고 해도
또 아무리 자신에 위로가 된다고 해도
아무나, 아무 유명인이나 걱정해줄 일은 아닙니다.
어쨌든 남 걱정은 쓸데없는 거니까요.
하지만 아무리 쓸데없는 걸 알아도
마음이 저절로 쓰이는 사람이 있잖아요.
아무리 뭐라 그래도 가족 걱정은 할 수밖에 없잖아요.
그런 사람만 걱정해주는 겁니다.
그래서 전 김아중 걱정을 하는 거죠.
마음이 쓰이거든요.
가족 같아서... ...
... 뭔 개소리여... 사인도 없는 주제에... 가족은 무슨...
(사진 출처: 영화 '캐치 미'(2013.12.18 개봉)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