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0월 18일 일요일
김아중 그리고 샤이닝 스타 더스트
얼마 전엔 전주 한옥마을에 또 다녀왔다.
거의 1년 만이었다.
한옥마을은 군것질거리가 많아서 날 좋은 날 슬슬 돌아다니면 심심치 않다.
솔직히 난 이유 없이 가끔 전주에 가고 싶다.
할 일 없이 그냥 그 '아중로'가 가끔 생각이 난다.
김아중하고는 아무 관계도 없는 길인데.
그냥 평범한 길일 뿐인데.
그런데도 이름만 떠올리면
아중로는 길에 길이 연이어 한없이 이어질 것 같기도 하고,
이 가을 그 길가엔
노오~란 레인 코트에 검은 눈동자의 김아중이
떨어지는 노란 은행잎들 사이를 걸어가고
그 은행잎이 끝나는 길 끝 어딘가에는
버건디 베레모의 김아중이 붉은 단풍나무 아래
엄청 lonely한 afternoon 분위기로 호젓하니 서 있을 것만 같다.
설마 lonely한 night 분위기까지는 아닐 거다...
하여간 날도 좋고 딱히 생각나는 데도 없어서
집에서 뒹구는 레벨이나 올릴까 어쩔까 하고 있는데
아내가 먼저 한옥마을이나 가자고 하기에
아싸, 김아중 보러 간다~ 하고
말했다면 내가 지금 이러고 있지를 못할 테고
그럼 할 일 없는데 거기나 또 갈까 하는 분위기로 운전대를 잡았었다.
알다시피 한옥마을엔 김아중하고 관련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
하다못해 연예인 사인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가게를 둘러보더라도
김아중은 사인 한 장 남겨놓은 게 없다.
있으면 사진이라도 찍어둘 텐데.
그러니까 우리의 김아중은 어디 나다니질 않는 거다.
그저 lonely home에서 뒹굴...
나보다 뒹구는 레벨이 한참 높을 듯...
그런데도 난 한옥마을에만 가면 필연적으로 김아중을 떠올리고
마음이 까닭 없이 설렌다.
가벼운 먹거리 골목 같은 그곳의 떠들썩한 분위기나
한나절 나들이의 들뜬 기분 때문이라고 하기에는
설명이 부족한 설렘이 내겐 있다.
갈 때마다 생각하는 거지만 참 알 수가 없다.
그냥 발음만 같을 뿐인 '아중역',
'아중마을' 같은 거에도 마음이 설레는 이유를.
더구나 단순히 그런 지명 근처에 있을 뿐인
한옥마을을 돌아다니면서도 설레는 이유를.
그냥 병일 거다.
아니면 '아. 중.'이라는 음절이
갓구운 고소한 빵 냄새처럼,
마법의 빛나는 star dust라도 뿌리는 것처럼
주변을 홀리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The shining star 김. 아. 중.
힘들고 지칠 때면 shining star라는 그 shining star...
하지만 너무 멀리 있는.
나한텐 가루나 뿌려대는...
(사진 출처: 영화 '캐치 미'(2013.12.18 개봉)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