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2월 25일 화요일

김아중의 '나의 PS 파트너'를 봤다.



아내에게 어떤 식으로 영화를 보러 가자고 말하는 것이

가장 나다운 건지 고민이었다.




아무리 일코를 해제했다고는 하지만,

들이밀 때와 빠질 때는 구분하며 살아야 하는데 마침 수요일에 아내가


"당신 왜 걔 영화 보러 안 가?" 하며 물었다.

참고 기다리다 보면 좋은 날도 온다.




'걔'가 누군지는 피차 아는 거고

제목이건 뭐건 아무것도 필요없이

아내에게도 그건 그냥 김아중 영화였나 보다.



"어, 봐야지. 내일 볼까? 조조 보고 ... 점심 먹고 들어오면 되겠네."



나는 잊고 있었다는 듯한 심드렁한 말투와 점심을 버무려

영화 보고 밥 먹는 매우 일상적인 흐름을 완성했다.




내가 김아중 영화라고 해서 특별히 다르게 행동하지는 않는다는 의미고

비록 이제 코스프레는 소용없을지라도 어떻게든 상황을

개선하려는 노력만큼은 끊임없이 해야 하는 거다.




아내도 내 제안이 흡족했는지 토를 달지 않았고

나는 내 잔머리에 흡족했다.

아내도 좋고 나도 좋고.




그렇게 해서 개봉 일주일이 지난 13일 목요일에

당당하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절대 비굴하지도 않게 아내와 극장엘 갔다.

아내는 19금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던 듯 아무 말 없이 표를 샀고




조조였는데도 사람이 꽤 많았고

대형 스크린에서 6년 만에 다시 보는 김아중은 감격스러웠으며

영화는 매끄럽고 빠르고 재치있었고

나는 역시 마냥 행복했다.




엔딩 크레딧이 올라갈 때 오래 앉아서 여운을 즐기고 싶었지만,

아내에게 평소와 다른 모습을 보일 수는 없다는 계산 아래

미련 없다는 듯 아내보다 먼저 극장을 빠져나오는 바람에

부가 장면들을 놓친 것은 아쉬움으로 남았다.




영화 끝나고 밥 먹고 간단한 쇼핑을 마칠 때까지

아내는 영화에 대해 가타부타 일절 말이 없었고

나는 몸을 사리느라 할 말이 없었는데

차 타고 집으로 오는 길에 아내는




"김아중 보니까 좋으냐?ㅎㅎ" 고 물었다.

"응. 좋지.ㅎㅎ"

"나이도 모르고 주책이야.ㅎㅎ"


아내는 나에 대해 이제 포기했는지 아니면 달관했는지

얼마 전에 했던 말을 그대로 하더니 더는 말이 없었는데




내가 반응을 떠보려고 대사가 좀 그렇지 않았냐고 물었더니

그거 때문에 보는데 그 정도는 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했다.




PS 뜻은 알고 봤는지도 묻고 싶었지만

잘 넘어가는 사람 주저앉힐 필요는 없다는 생각에 그만뒀다.




그리고 12월 20일 개봉 2주가 지난 목요일

혼자 다시 밤늦게 영화를 보고 왔다.

내게 아직 그런 용기가 기특하게도 남아있었나 보다.




여전히 김아중을 보는 것은 주체할 수 없는 감동이고 행복이었고

다른 어떤 것도 필요하지 않았으며

다른 어떤 생각도 떠오르지 않았고

쪽 팔리는 것도 무시한 채 나중에 후회하지 않도록 끝까지 앉아

엔딩 크레딧을 보면서도 아쉽기만 했다.




극장을 나서니 'Show Me Your Heart'가 다시 귓가에 맴돌았는데

언제 다시 김아중을 스크린에서 볼 수 있을지

언제고 다시 볼 수나 있을지 먹먹한 느낌이었다.




앞으로 또 몇 번의 추운 겨울이 지나가야 할지.

추운 날 또 다른 겨울이 걱정이다.





(사진 출처: 2012년 11월 22일 '나의 PS 파트너' 쇼케이스. 인터넷 여기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