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9월 24일 수요일

김아중 그리고 하늘





할 일 없이 뒹굴뒹굴하며 창 밖을 보면

다람쥐가 살지 않는 큰 나무와 그 나뭇가지 사이로 하늘이 보인다.

                                 (바로 이 나무. 검색해보니 플라타너스와 비슷하긴 한데...)


한가하고 졸음이 몰려오는 풍경이긴 하지만, 나쁘진 않다.

바람이라도 불면 쏴 하며 나부끼는 나뭇잎들,

그 사이로 같이 흔들리는 하늘, 

그리고 떠오르는 그리운 얼굴들.


창 밖을 보고 있으면 마음이 싱숭생숭해지면서

편안하게 망상에 빠질 수 있다.


교정 잔디에 누워

아까운 줄도 모르고 시간을 죽이며 하늘을 보던 이래

요즘처럼 하늘을 많이 본 적이 없다.

그때나 지금이나 하늘은 변한 게 없는데

내 몸은 많이도 변했다.


하늘을 보고 있자면

과거의 나도 지금의 나와 아무 차이 없는 같은 하늘 아래 누워

어딘가에 존재할 것만 같은 SF적인 허망한 생각도 들고


하늘은 세상 어디나 똑같이 연결되어 있어서

내가 여기서 보는 하늘이나

서울에서 보는 하늘이나 다 똑같을 것이니


내가 맥없이 하늘이나 볼 때 다른 누군가도 하늘을 본다면

그건 하늘을 통한 공간적인 조우,

공간적인 동시 접속이라는 생각도 든다.


그러니까 하늘에 누군가의 얼굴이 떠오르는 이유는

그 사람도 하늘을 보고 있기 때문일 거라는,

그래서 지금은 나만큼이나 할 일 없이 하늘을 쳐다볼 것만 같은

김아중 얼굴도 자꾸 떠오르는 것일 거라는

그런 망상을 하고 있자면 쓸데없이 나른한 만족감에 빠져들게 된다.


내가 말하는 별 같잖은 조우에는 관심이 없겠지만,

내 블로그를 방문한 당신도 하늘을 무심코 봤는데

문득 이 글이 생각나 흠칫 놀라게 된다면


전혀 원하진 않았을지라도

그건 어쩌면 먼 이국 땅에서

몸서리치게 망상질이나 하고 있는 어느 외로운 할배와

저 높은 하늘 어디에선가 시선이 교차했기 때문일 거라고 말하고 싶다.


물론 나도 그럴까 봐 섬뜩하다...

나도 모르는 당신과 시선을 주고받을 마음은 전혀 없다...


하지만, 하늘을 봤는데

강아지와 놀고 있는 김아중이 떠올라 일순 애틋해지면서

파이팅이라는 말이라도 전하고 싶은 마음이 든다면

확인할 길은 없지만,

그때는 아마 나처럼 당신도

한가한 김아중을 만나는 순간일지도 모른다.


김아중은 앞으로 하늘을 안 볼 거라는...

웬 산적 같은 놈들만 자꾸 떠올라...



(사진 출처: 영화 '캐치 미' 캡처)